전체 글

전체 글

    프로그래밍을 잘하는 것

    프로그래밍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잘하는 게 무엇인지는 논외로 하자. 양화할 수 없는 것을 괜히 해봐야 부작용만 크다. 질문을 바꾸어보자. 프로그래밍은 어떻게 배워야 해야 할까? 여기에 돌아오는 답변은 아래와 같다. C, JS, Java 같은 언어를 공부하세요. 아하! 딥러닝 관심 있으시구나. 그로탐 여윽시 python이죠. 허허, 프론트엔드가 대세인 거 모르시나. JS는 역시 React입니다. 그나저나 Docker 편하지 않나요? serverless super power♪~ Azu... 아니, AWS가 최곱니다. 엣헴... 엣헴... 으딜..! 어셈블러도 모르는 것들이! C를 이용해 UNIX 커널단까지 파고드는 그런 근성... 감히 말하길 나는 위에 사람 모두가 옳다고 생각한다. 달리 말하면 모두가..

    대기업 면접 후기

    프로젝트가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왔다. 처음엔 좀 걱정됐다. 기능 설계는 마무리 되었다. 하지만 그 기능들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또 어느 정도 비용(기간)이 들지 가늠이 잘 안 돼서 그랬었다. 찾아보니 적합한 오픈 소스들이 많았다. bootstrap, momentjs 그리고 카카오(다음)의 구원을 받았다. 덕분에 프로젝트에 적합한 형태로 붙일 수 있었다. 프로젝트는 망하지 않았다. 다행이다. 한편 남는 시간에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했다. 3월에 올려놓고 무한 수정 중... 최근에 업데이트한 이력서가 꽤 잘 먹힌다. 제목이 이렇게 중요한 거였나. 제목을 바꾸자마자 면접이 연달아 세 곳이나 잡혔다. 사실 한 곳더 연락 왔지만 인터뷰 날짜가 겹쳐서 못 간다. ㅠ.ㅠ 그나저나 나의 잔꾀가 이렇게 효과..

    유비쿼터스 컴퓨팅

    목차 사물 인터넷 구성요소 - 센서 - 네트워크 - IoT 인터페이스 철수의 일상 느낀 점 사물 인터넷 구성요소 '사물 인터넷'이란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아니면 'IoT'는 어떠신가요? 아마도 들어보셨을 겁니다. 언론에서 4차 산업혁명과 엮어서 많이 언급하니까요. 그런데 사물 인터넷이 대체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하면 사물 간의 통신입니다. 하지만 십수 년 전부터 인간은 이미 기계로 통신을 하고 있었는데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IoT는 어째서 이토록 주목받는 것일까요? 사실 IoT는 새로운 개념은 아닙니다. 이미 이전에 사물통신이란 개념이 존재했거든요. 사물 통신이란 1) 기계가 정보를 수집하고 2)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것입니다. 사물 통신, 즉 M2M(Machine to Machi..

    주석 쓰지 마!

    "주석은 많이, 상세히 적을 수록 좋습니다." "잘하는 사람의 코드에는 주석이 많아요." 강사 님이 수업 내내 주석의 중요성을 설파하셨다. 주석이 많을수록 좋은 코드라고. 또한 모든 수식에는 괄호를 넣을 것을 권했다. int a, b a=4; b=a>2; 대략 위와 비슷한 내용의 코드에서 a>2가 아니라 (a>2)를 써야 한단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고 한다. "컴파일러에 따라 ##$@#$ 결과가 바뀔 수 있습니다." 나는 무엇 하나 동의하기가 어렵다. 주석을 많이 쓰는 것도, 수식마다 괄호를 쓰는 것도. 주석은 주석일 뿐이다. 많기는커녕 적을수록 좋다고 생각한다. "아니, 주석이 없으면 코드를 어떻게 독해하라구욧!" 나는 되묻고 싶다. 코드가 모호하다고 주석을 붙이면 어떻게 해! a, b 이런 식으로..

    쉽게 설명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먼저 뻔한 흐름으로 글을 시작해보겠습니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Object Oriented Programming 줄여서 OOP.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기존 절차지향 방식에서 벗어나 프로그램을 객체 단위로... 사전적 정의는 틀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맞는 말인데 멍멍이 소리이기도 합니다. 왜냐구요? 독자는 저 말을 이해할 백그라운드가 없어요. 그러니 멍멍이 소리로 들릴 수밖에요. 처음부터 저거 읽고 객체지향이 뭔지 알면 천재죠. 조금 다른 방식으로 접근해봅시다. 저는 어떤 개념을 이해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방법 중 하나는 해당 개념의 역사를 살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등장 배경이라든지 부상하게 된 계기 같은 것들이요. 프로그램의 부품화 #include int mai..

    오라클 끄기 / 켜기

    개발을 하다 보면 컴퓨터가 느려지곤 합니다. 개발 환경 구축 시에 이것저것 설치하기 때문입니다. 프로세스가 메모리를 왕창 잡아먹거든요. (참고로 금융 거래를 해도 컴은 금방 맛이 가버려요. ahnlab safe, wizvera veraport, delfino... 끔-찍) 개발 환경 중에서 데이터베이스는 특히 메모리를 왕창 잡아먹습니다. mysql은 170MB 정도로 가벼운 편이지만, oracle은 500MB까지 올라가더라구요. 저는 램 4GB 조선컴을 쓰기 때문에 1MB라도 절약해야 합니다. 그러니 안 쓸 때는 DB를 끄려구요. 요컨대 이 글의 요지는 메모리 절약입니다. 오라클 끄기 오라클을 끄는 법은 간단합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켭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 sqlplus $ conn ..